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이유식 거부 하는 아기

by 쩰맘 2025. 7. 10.

이유식을 안 먹는 아기에게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어요. 아래에 주요 원인들을 정리해 드릴게요:

🍼 1. 발달 단계가 아직 준비되지 않아서 생후 4~6개월부터 이유식을 시작하지만, 아기마다 준비 상태가 달라요.

**입으로 음식을 미는 반사(설사반사)**가 남아 있으면 잘 못 삼켜요. 목을 가누지 못하거나 앉는 자세가 불안정하면 이유식 먹기가 힘들어요.

 

😖 2. 새로운 식감과 맛에 대한 거부감 이유식은 아기에게 전혀 새로운 경험이에요. 미각, 촉감, 냄새 모두 낯설기 때문에 익숙해질 시간이 필요해요. 특히 쓴맛이나 단맛이 아닌 중간맛은 거부감을 줄 수 있어요.

 

🤒 3. 몸이 불편하거나 아픈 경우 감기, 장염, 치아가 나기 시작할 때, 열이 있을 때 등 컨디션이 안 좋으면 이유식을 거부해요. 변비나 소화불량이 있는 경우에도 먹기를 싫어할 수 있어요.

 

🕓 4. 타이밍이 안 맞을 때 배가 너무 고프거나, 너무 배불러도 이유식을 안 먹어요. 수유 직후거나, 졸리거나 기분이 나쁘면 먹는 데 관심이 없을 수 있어요.

 

🍽️ 5. 이유식 형태나 맛이 맞지 않을 때 너무 되거나 묽거나, 입자가 크거나 작거나, 너무 뜨겁거나 차가울 때 거부할 수 있어요. 매번 같은 맛이면 지루함을 느껴 거부할 수도 있어요.

 

🧠 6. 심리적 요인 억지로 먹이려는 태도가 아기에게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요. 밥 먹는 시간이 즐겁지 않으면 이유식 자체에 거부감을 가질 수 있어요.

 

✅ 어떻게 하면 좋을까? 아기의 컨디션을 먼저 살펴보세요. 이유식은 조급하지 않게, 천천히 다양하게 시도해보세요. 거부한다고 혼내거나 억지로 먹이지 않기. 하루에 한두 번, 소량씩, 밝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시도해보는 것도 좋아요.